상식 창고

유동성 스왑(Liquid Swap)과 DAO 설명

붓다멘탈 2022. 1. 6. 21:14

#유동성 스왑 #유동성 풀 #Liquid Pool

#유동성 공급자 #스테이킹 #디파이

#DAO 

 

[ 유동성 스왑 ]

 

유동성 스왑이란 서로 다른 코인 2개를

중간과정(코인 현금화)을 거치지 않고

다이렉트로 환전하는 것을 말한다.

 

유동성 스왑을 이용하는 이유는 중간

과정을 거치지 않기 때문에 수수료가

절약되고 시간도 단축되기 때문이다.

 

또한 유동성 스왑 거래소의 유동성

풀에(상식창고 참조) 유동성을 공급하는

사람들은 타인의 거래수수료를 분배

받고 시세차익을 통한 수익(혹은 손실)

을 받을 수 있다.

 

[ DAO ]

 

DAO란 Decentralized Autonomous

Organization의 약자로 탈중앙화된

(분산화) 조직을 말한다. 이더리움

프로젝트를 지원하기 위한 조직이기도

하다.

 

DAO내 규칙은 스마트 컨트랙트

(Smart Contract)에 의해서 이뤄진다.

기존의 정부나 기관같은 조직의 경우

특정 중심부에서 의사결정이 진행되는

반면에 별도의 중심부 없이 블록체인

코드 상에서 계약이 성립되게 된다.

이 스마트 컨트랙트는 이미 코드로

구현되어 함부로 수정할 수는 없으나

해당 커뮤니티의 이용자들의 투표로는

수정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DAO (커뮤니티/공동체)

에서는 서비스를 이용하거나 투자를

통해 누구나 회원이 될 수 있는 자유로운

특징을 가진다. 다만, 구성원이 되기 위해서는

DAO의 토큰을 보유해야 한다. 이런 DAO의

토큰을 Governance Token이라 하며 DAO

가 성장할수록 이 거버넌스 토큰의 가치도

오르게 된다.

또한 누구나 참여 자격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소스가 오픈되어 있으며 따라서

누구나 코드를 읽어볼 수도 있다.

 

DAO는 자유로운 대신에 특정 이슈가

발생했을 경우 즉각적인 수정이 불가능하며

DAO내 회원들의 투표가 완료되고 승인

될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

 

[ DAO의 구성 요소 ]

 

1. Developers(개발자]

: DAO 조직을 설계한 개발자

 

2. Proposal(제안)

: DAO내에서 진행할 프로젝트를 제안

 

3. Vote(투표)

: DAO내 거버넌스 토큰 보유자들이 투표

 

4. TokenHolers(토큰 보유자)

 

5. Contractor(계약자)

: DAO내에 먼저 제안을 하거나 투표 결과를

행사하는 포지션

 

6. Curators(중재자)

: DAO를 관리하는 매니저 포지션

 

-----------------------------------------

네이버카페 N타버스 코리아에 오시면

더 다양한 정보를 얻고 소통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