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토피아(Blocktopia) 스테이킹 하는법
#블록토피아 #Blocktopia #스테이킹
#코인스테이킹 #쿠코인 #메타마스크
# 유의사항
: 상식창고 읽어보시면 아시겠지만
스테이킹한다고 무조건 수익을 얻는
것이 아니며 비영구적 손실을 넘어설 때
수익을 얻을 수 있는 것입니다. 또한
예치 시점과 회수 시점의 코인 시세가
같다고 하여도 비영구적 손실은 발생할
수 있으며 여기에 코인 전송 수수료와
스테이킹시 발생하는 가스비(Gas Fee)
까지 계산해보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 메타마스크 만드는법
https://animal7.tistory.com/13
암호화폐 지갑만들기&로그인,로그아웃
# 메타마스크 지갑 만드는 과정은 어떤 암호화폐 기반의 지갑이든지간에 거의 똑같습니다. 굳이 여기저기 찾아 볼 필요가 없습니다. # 공통 핵심 1. 계정 암호 : 브라우저에서 본인 지갑 계정 로
animal7.tistory.com
# 블록토피아 소개 1편
https://animal7.tistory.com/28
블록토피아(Blocktopia) 소개 1편
블록토피아의 공식 웹사이트에 있는 백서를 참고한 블록토피아(Blocktopia) 소개 1편입니다. #블록토피아 #BLOCKTOPIA #P2E게임 #메타버스게임 #NFT게임 #메타버스플랫폼 블록토피아는 폴리곤 네트워크
animal7.tistory.com
# 비영구적 손실
https://animal7.tistory.com/34
비영구적 손실
#스테이킹 #디파이 #비영구적손실 # LP Pool #유동성공급자 #LP토큰 스테이킹이나 디파이를 통한 이자 수익을 얻기 위해 LP 풀에(유동성 공급) 자산을(코인) 예치했을 때 예치한 시점과 다시 회수한
animal7.tistory.com
# 비영구적 손실 계산 사이트
$BALLER | Impermanent Loss Simulator for Balancer Pools
Impermanent Loss Simulator for Balancer Pools
baller.netlify.app
# 준비물
: 국내 거래소 지갑/ Kucoin 거래소 지갑
/ 메타마스크 지갑/ 돈
* 쿠코인 거래소는 한국어를 지원합니다.
* deposit = 입금/ withdraw = 출금(+송금)
======================
[ 블록토피아 스테이킹 유형 ]
현재 블록토피아에 스테이킹 유형은 20%
APY의 90일 만기/ 40% 180일 만기/ 60%
360일 만기 등 총 3가지가 있습니다.
(기간별로 보상이 상이합니다)
[ 스테이킹 과정 ]
1. https://chainlist.org/ 에서 메타마스크
지갑을 연결한 후 MATIC을 검색하여 메타
마스크 지갑의 메인넷에 MATIC NETWORK를
추가해줍니다. (" POLYGON Mainnnet ")
2. https://coinmarketcap.com/ko/currencies/bloktopia/
(코인마켓캡의 블록토피아 토큰 페이지)에
가서 좌측 중앙의 메타마스크 아이콘을
클릭해 메타마스크 지갑을 코인마켓캡
블록토피아와 연결합니다. 연결하면 본인
메타마스크 지갑에 BLOK 토큰이 "등록"
됩니다.
3. 국내 코인 거래소에서 Polygon 코인을
매수하여 전송 네트워크 MATIC(Polygon이
Matic 입니다) 으로 맞춰서 쿠코인 거래소
지갑으로 송금해줍니다. (송금시 전송 수수료
생각해서 전액 송금이 아니라 폴리곤을 약간
남겨놔야 합니다)
이때 왠만하면 지갑주소나 전송네트워크가
맞게 입력됐는지 확인하는게 좋기 때문에
소액을 테스트겸 먼저 송금해보시는 걸 추천
드립니다. 수 분 안에 송금이 완료됩니다.
4. 쿠코인 거래소에서 약간의 폴리곤을
남겨놓고 나머지 스테이킹할 폴리곤을
매도하여 USDT를 얻습니다. 획득한 USDT로
BLOK/USDT를 매수합니다.
(쿠코인에서 시장 클릭)
5. 쿠코인 거래소에서 메타마스크 지갑 주소로
폴리곤과 블록토큰을 각각 전송해줍니다.
(전송 네트워크 MATIC/ Security Verification은
본인이 쿠코인 거래소 가입시 설정해둔 비번
6자리) 이 때도 테스트겸 1회 먼저 소액 입금을
추천드립니다.
6. 메타마스크 지갑에 폴리곤과 블록토큰이
입금된 것을 확인했으면 블록토피아의
스테이킹 페이지로 가서 메타마스크 지갑을
연결합니다. 그리고 스테이킹할 블록토큰의
갯수를 입력하고 확인을 눌러줍니다. 우측 상단
메타마스크탭이 뜨면서 확인 질문이 나옵니다.
(스테이킹할 때 가스비로 폴리곤이 들기 때문에
쿠코인에서 약간의 폴리곤을 남기는 것입니다)
7. 스테이킹 완료가 되었으며 페이지
새로고침시 STAKED BLOK TOKEN을
보시면 본인이 스테이킹한 블록 토큰
갯수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